Highlight

Intro -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 연구팀, 흥분성 및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기능을 단일 전자 소자에 동시에 구현해 복잡한 생물학적 감각신경계 특성을 모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
- 감각신경계 모사뿐 아니라 보안 분야 및 차세대 컴퓨팅 분야에도 활용 기대 
Principal Investigator 김경민 교수 
Date 2023-11-15 

사진 1. KAIST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jpg  사진 2. KAIST 신소재공학과 김근영 석박사통합과정.jpg

 

< (왼쪽부터)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 김근영 석박사통합과정 >

최근 인간의 뇌를 모방한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이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뇌를 넘어 첨단 센서와 휴머노이드 분야에 적용가능한 감각신경계 모사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메모리 소자인 멤리스터를 사용하여 통증자극 민감도 조절 기능을 갖는 뉴로모픽 통각수용체 소자를 최초로 구현했다고 15일 밝혔다.

※ 멤리스터(memristor): 메모리(memory)와 저항(resistor)의 합성어로전류의 흐름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전자소자 

 

감각신경계의 핵심적인 역할 중 하나는 유해한 자극을 감지해 위험한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다특히 통각수용체는 자극이 민감도의 임계치를 넘으면 통증 신호를 발생하여 인체가 자극에서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이를 위해 통각수용체의 신호 전달에는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Excitatory Neurotransmitter)과 외부 자극에 대한 임계치를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Inhibitory Neurotransmitter)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히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은 흥분 작용과 역균형을 이뤄 신경의 과도한 활성화를 방지하고다양한 외부 자극에 적절하게 반응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가지게 된다. <그림 1> 그동안 이러한 복잡한 감각신경계의 동작을 모사하는 전자 소자를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는데기존의 연구에서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특성은 쉽게 구현할 수 있었으나억제성 신경전달물질에 의한 임계치 조절 특성까지 동시에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림 1. 흥분성 및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인한 통각수용기의 동작 모식도.jpg

< 그림 1. 흥분성 및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인한 통각수용체의 동작 모식도 >

김경민 교수 연구팀은 이중 전하 저장층 구조를 통해 외부에서의 자극에 대한 임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뉴로모픽 통각수용체 소자를 최초로 개발했다<그림 2> 두 종류의 서로 다른 전하 저장층은 각각 전도성을 조절하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역할과 임계치를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을 맡아 통각수용체의 필수적인 기능들인 통증 전달 특성(threshold triggering), 통증 완화(Relaxation), 통증 민감화(Sensitization) 등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그림 3> 이는 신경계의 복잡한 기능을 신경계의 동작 원리를 모방하여 단순한 구조의 전자 소자로 구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그림 2. 인공 통각수용기 소자의 (a) 전류-전압 (I-V) 특성 (b) 임계 스위치 전압 분포.jpg

< 그림 2. 인공 통각수용체 소자의 (a) 전류-전압 (I-V) 특성 (b) 임계 스위치 전압 분포 >

또한이 소자는 온도 자극에도 반응하는 온도수용체 특성을 보였으며특히 억제성 상태를 제어하여 단일 소자가 고온 범위와 저온 범위를 모두 감지할 수 있는 가변적인 온도수용체 특성을 구현할 수 있었다<그림 4> 이러한 통각수용체온도수용체 소자는 인간을 모방하는 휴머노이드 피부에 적용하여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자극을 감지하는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 

 

김경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흥분성 및 억제성 신호 작용의 특성을 단일 소자에 구현해간단한 반도체 기술로 복잡한 생물학적 감각신경계의 특성을 모사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ˮ며 "이처럼 임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은 감각신경계 모사뿐 아니라 임계 스위칭 특성을 활용하는 보안 소자나 차세대 컴퓨팅 소자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ˮ고 밝혔다.

 

그림 3. 조절 가능한 (a) 통증 완화 특성 (b, c) 통증 민감화 (이질통, 통각 과민) 특성.jpg

< 그림 3. 조절 가능한 (a) 통증 전달 특성 (b) 통증 완화 특성 (c) 통증 민감화 (이질통, 통각 과민) 특성 >

한편 이번 연구는 신소재공학과 김근영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제저자로 참여했으며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Impact Factor: 29.4)'에 10월 21일 字 온라인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나노종합기술원, KAIST, 그리고 SK 하이닉스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논문명Threshold Modulative Artificial GABAergic Nociceptor논문링크https://doi.org/10.1002/adma.202304148)

 

그림 4. 온도수용체 (a) 온(溫)센서 및 (b) 냉(冷)센서 특성 모사.jpg

< 그림 4. 온도수용체 (a) 온(溫)센서 및 (b) 냉(冷)센서 특성 모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