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

홍승범 교수팀, 고온 실험 없이 AI로‘최적 합금’예측 시대 연다 file
'생체전자소자 권위자’John A. Rogers 교수 초빙 file
KAIST, 軍 전투원 신소재 입고 개인 맞춤형 훈련시대 연다 file
조힘찬 교수팀,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보안높인다. file
KAIST, 세계 최초 ‘좌우회전 빛 구별 반도체’ 소재로 양자광학 혁신 file
KAIST, 세계 최초 카이럴자성 양자점 개발- 빛 구동 AI용 소자 구현 file
KAIST, 뇌처럼 생각·반응하는 반도체 나왔다 file
조힘찬 교수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수상자로 선정 file
염지현 교수 연구팀, ‘카이랄 나노 페인트’ 기술로 항암, 코로나 치료 혁신 file
KAIST, AI 기반 화재 걱정없는 고효율 아연-공기 배터리 개발 file
147 김상욱, 스티브 박 교수, 압력과 인장을 구분하는 무선통신 전자 소자 개발
146 조은애 교수, 귀금속 사용량을 50% 감소시킨 친환경 수소 생산 전극 개발​
145 홍승범 교수, 고접착 패브릭 기반 웨어러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개발​
144 김상욱 교수, 스스로 납작해지는 똑똑한 2차원 그래핀 섬유 개발
143 홍승범 교수, 청량음료가 치아건강에 해롭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
142 정연식, 전덕영 교수, 100배 이상 해상도 높인 차세대 퀀텀닷 프린팅 기술 개발
141 박병국, 육종민 교수, 왼손 방향 스핀파 세계최초 보고
140 육종민 교수, 살아있는 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 성공
139 신종화 교수, 뼈의 단단함을 모사해 광학적 특성을 매우 증대시킨 신물질 개발
138 오지훈 교수,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물질로 전환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촉매 개발
137 강정구 교수, 공기중 산소로 충전되는 차세대 배터리용 에너지 저장 소재 개발
136 홍승범 교수, 원자간력 현미경(AFM)을 이용한 배터리 전극의 구성 성분 분포 영상화 기법 개발
135 전석우 교수, 세계 최고 수준의 능동형 광학 변조 필름 기술 개발 file
134 신병하 교수,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 개발 file
133 강정구 교수, 원자 틈 이용해 이산화탄소의 연료 변환 성공​ file
132 전석우, 오지훈 교수, 금 사용량 줄인 이산화탄소 환원 나노구조 촉매 개발 file
131 강정구 교수, 급속충전 가능한 소듐이온 하이브리드 전지 개발 file
130 박찬범, 스티브 박 교수, 혈액 기반 알츠하이머병 멀티플렉스 진단센서 개발 file
129 김상욱 교수, 멤브레인 필요 없는 새로운 물 기반 전지 개발 file
128 ‘Carrier-Resolved Photo-Hall’ to Push Semiconductor Advances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