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

홍승범 교수팀, 고온 실험 없이 AI로‘최적 합금’예측 시대 연다 file
'생체전자소자 권위자’John A. Rogers 교수 초빙 file
KAIST, 軍 전투원 신소재 입고 개인 맞춤형 훈련시대 연다 file
조힘찬 교수팀,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보안높인다. file
KAIST, 세계 최초 ‘좌우회전 빛 구별 반도체’ 소재로 양자광학 혁신 file
KAIST, 세계 최초 카이럴자성 양자점 개발- 빛 구동 AI용 소자 구현 file
KAIST, 뇌처럼 생각·반응하는 반도체 나왔다 file
조힘찬 교수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수상자로 선정 file
염지현 교수 연구팀, ‘카이랄 나노 페인트’ 기술로 항암, 코로나 치료 혁신 file
KAIST, AI 기반 화재 걱정없는 고효율 아연-공기 배터리 개발 file
167 김일두 교수 연구팀, 날숨 속 황화수소 가스 검출을 통한 구취 센서 개발​
166 김상욱 교수 연구팀, 단일 원자촉매의 제조부터 구조와 물성, 그리고 응용까지 망라
165 Biomimetic Resonant Acoustic Sensor Detecting Far-Distant Voices Accurately to Hit the Market​ (Prof. Lee, Keon Jae)
164 홍승범 교수 연구팀, 고체 전해질 내부 나노 단위 영상화 성공​
163 홍승범 교수 연구팀, 신소재 영상화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미래 개척
162 조은애 교수 연구팀, 고용량 차세대 배터리 수명 향상 소재 개발
161 강정구 교수 연구팀, 물에서 작동하는 급속충전 가능한 전지 개발
160 이건재 교수, 인간 귀 모사한 음성 센서 세계 최초 상용화 길 터​
159 육종민 교수, 그래핀 이용해 아쿠아리움처럼 액체 내 물질을 관찰하는 현미경 기술 개발​
158 김도경 교수 연구팀, 신소재 레이저 제작기술 개발​
157 정연식 교수 연구팀, 핫전자 이용, 온실가스 저감원리 규명
156 배병수 교수, 물과 고온·고습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 수지 개발​
155 장재범 교수, 암 진단에 필요한 새로운 형광 증폭 기술 개발​
154 스티브 박 교수 연구팀, 입자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제어해 박막 특성 조절 성공
153 홍승범 교수, 촉각 증강을 위한 고탄성 압전 세라믹 신소재 개발​
152 강정구 교수, 급속 충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전지 개발
151 김일두, 정우철 교수 연구팀, 저온 엑솔루션 현상을 통한 나노촉매-금속산화물 기반 황화수소 가스 센서 개발​
150 최벽파 교수, 열을 전기로 변환하는 하프호이즐러 물질의 나노구조 제어 성공​
149 김상욱 교수, 2차원 신소재를 1차원 리본으로 오려내는 나노 가위 기술 개발​
148 정연식 교수, 성냥개비 탑 형상의 초고효율 수소생산 촉매 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