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

홍승범 교수팀, 고온 실험 없이 AI로‘최적 합금’예측 시대 연다 file
'생체전자소자 권위자’John A. Rogers 교수 초빙 file
KAIST, 軍 전투원 신소재 입고 개인 맞춤형 훈련시대 연다 file
조힘찬 교수팀,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보안높인다. file
KAIST, 세계 최초 ‘좌우회전 빛 구별 반도체’ 소재로 양자광학 혁신 file
KAIST, 세계 최초 카이럴자성 양자점 개발- 빛 구동 AI용 소자 구현 file
KAIST, 뇌처럼 생각·반응하는 반도체 나왔다 file
조힘찬 교수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수상자로 선정 file
염지현 교수 연구팀, ‘카이랄 나노 페인트’ 기술로 항암, 코로나 치료 혁신 file
KAIST, AI 기반 화재 걱정없는 고효율 아연-공기 배터리 개발 file
207 박병국 교수 연구팀, 스핀 소자 기반 물리적 복제방지 보안 기술 개발 file
206 강지형 교수 연구팀, 고성능 스트레처블 고분자 반도체를 위한 신개념 계면공학법 개발 file
205 강지형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수준 신축성과 전도성 가진 액체금속 입자로 신축성 인쇄 전자회로 기판 구현 file
204 이건재 교수 연구팀, 면 발광 마이크로 LED 패치 개발로 피부 미백에 획기적 효과 file
203 홍승범 교수 연구팀, 리튬이차전지 실리콘 기반 음극의 수명과 관련된 전자전도도 퇴화를 나노스케일에서 영상화 성공​ file
202 박찬범 교수 연구팀, 태양빛과 전기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업사이클링 구축​ file
201 스티브박 교수 연구팀, 헬스케어용 액체금속 전자문신 기술 개발 file
200 홍승범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 활용 고용량 배터리 소재 역설계 기술 개발 file
199 장재범 교수 연구팀, 항체를 활용한 신개념 생체 형틀법 최초 개발​ file
198 김상욱 교수 연구팀, 나노 크기 인공 지문으로 복제불가 사물인터넷 보안, 인증 원천기술 개발​ file
197 박찬범 교수, 정연식 교수 연구팀, 차량 배기열을 에너지원으로 화학합성 가능성 최초 밝혀 file
196 스티브박 교수 연구팀, 신축성 있는 전자장치 및 전자피부에 적용 가능하게 설계된 기하학적 아일랜드 기판 개발​ file
195 김일두 교수 연구팀, 전자기기 도움 없이 실시간 체온 모니터링 가능한 초고감도 센서 개발 file
194 이건재 교수 연구팀, 인간 뇌처럼 뉴런-시냅스 동시 구동 모사한 메모리 최초 구현​ file
193 전석우 교수와 신종화 교수 공동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나노구조 공정을 혁신하는 새로운 3차원 노광 공정 개발​ file
192 스티브박 교수 연구팀, 안정적인 형태의 액체금속 프린팅 기술 개발 file
191 장재범 교수팀, 생체 조직 내 여러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탐지하는 고성능 기술 개발 file
190 박찬범 교수 연구팀, 저주파 자기장 반응성 나노입자 개발해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 분해 성공 file
189 홍승범 교수 연구팀, 리튬이온전지 충방전 과정을 나노스케일에서 영상화 성공​ file
188 박병국 교수 연구팀, 초고속 자성메모리에 쓰이는 새로운 스핀소재 기술 개발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