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신개념 나노발전기 원천기술 개발

 - 나노복합체 이용해 복잡한 공정과 고비용 문제 해결 -

-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6월호 표지논문 게재 -

 

 

KAIST 연구진이 나노복합체를 이용해 나노발전기를 적은 비용으로도 대면적으로 만들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KAIST(총장 서남표)는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 연구팀이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신개념 나노발전기 원천기술을 개발해 재료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Advanced Materials)’ 6월호 표지논문에 게재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간단한 코팅 공정을 통해 만들어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면적도 쉽게 제작 가능해 공정이 복잡했던 기존의 한계를 극복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나노발전기는 나노 크기(10억분의 1m)의 물질을 사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로, 압전 물질에 압력이나 구부러짐 등과 같은 물리적 힘이 가해질 때 전기가 발생하는 특성인 압전 효과를 이용한다.

 

압전 효과를 이용하는 발전기술은 2009MIT가 선정한 10대 유망기술에 선정됐으며, 2010년 미국의 유명한 과학월간지 파퓰러사이언스(Popular Science)가 선정한 세계를 뒤흔들 45가지 혁신기술에 포함되기도 했다.

 

나노발전기 개발을 위한 압전 물질은 2005년 미국 조지아공대 왕중린 교수팀이 세계 처음으로 나노발전기 개념을 제시하면서 적용한 산화아연(ZnO)’이 유일했다.

 

2010KAIST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 연구팀은 산화아연보다 15~20배 높은 압전 특성을 갖고 있는 세라믹 박막물질인 티탄산화바륨(BaTiO3)’을 이용해 나노발전기 효율을 한층 업그레이드 시킨데 이어, 이번에는 나노복합체를 이용해 간단한 공정으로 제작하는 데 성공해 적은 비용으로도 넓은 면적의 나노발전기를 구현해낼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수백 나노 크기의 고효율 압전 나노입자인 티탄산화바륨과 비표면적이 크고 전기 전도성이 높은 탄소나노튜브또는 산화 그래핀(RGO)를 폴리머(polydimethylsiloxane, PDMS)와 섞은 후 간단한 코팅공정을 통해 넓은 면적의 나노발전기 제작에 성공했다.

 

이건재 교수는 압전효과를 바탕으로 한 나노자가발전 기술은 적은 기계적 힘만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기존 기술은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고가의 비용문제 및 소자크기의 한계성을 극복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에 개발된 기술에 패키징 및 충·방전 기술을 융합하면, 반영구적으로 자가발전 및 저장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시스템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기술의 국내외에 여러 건의 특허가 등록 및 출원됐다.()

 

 

출처:  (해외) Nanowerk, Physorg, Nano Innovation, Science Codex, NanotechIEEE Spectrum,  Eurekalert

            (국내) 조선일보(link), YTN 방송, 연합뉴스, 매일경제, 노컷뉴스, 전자신문, 디지털타임스

   

              Cover_NCG.jpg

           - Advanced Materials 표지논문

- 압전 나노복합체 제작공정과 소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구부릴 때마다 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는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