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

장재범·김일두 교수 연구팀, 인공장기 생체 단백질 모방 금속 필름 개발 file
김경민 교수 연구팀, 뉴로모픽 반도체로 통증도 느낀다 file
김상욱 교수 연구팀, 포스트 AI 시대 핵심 신소재는 ? file
조힘찬 교수 연구팀, 유독물질 뺀 초고해상도 QLED 신기술 개발 file
정연식 교수·KIST 김진영 박사·김동훈 박사 공동 연구팀, 반도체 기술로 75배 향상된 초고효율 수소 생산 성공​ file
홍승범 교수 연구팀, 고용량 배터리 수명 증대 영상화하다 file
강지형 교수 연구팀, 쭉쭉 늘어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핵심기술 개발 file
125 조은애 교수 연구팀, 고용량 차세대 배터리 수명 향상 소재 개발
124 박찬범 교수, 정연식 교수 연구팀, 차량 배기열을 에너지원으로 화학합성 가능성 최초 밝혀 file
123 김일두 교수, 새집증후군 유발하는 톨루엔 초정밀 감지센서 개발 file
122 배병수 교수, 오징어 폐기물로 플렉서블 전자소자 제작용 투명종이 개발 file
121 박병국 교수, 차세대 자성 메모리의 성능 향상 기술 개발 file
120 박병국, 정연식 교수 공동 연구팀, 고속 동작 뉴로모픽 자성 소자 핵심 기술 개발​
119 김일두 교수, 7초 안에 수소가스 탐지 가능한 센서 개발 file
118 홍순형, 류호진 교수, 세라믹과 고온용 2차원 나노소재 합성기술 최초 개발 file
117 홍승범 교수 연구팀, 고체 전해질 내부 나노 단위 영상화 성공​
116 홍승범 교수 연구팀, 신소재 영상화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미래 개척
115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 실시간으로 엿본다 file
114 김일두 교수, 동물 단백질 촉매로 활용한 질병진단센서 개발 file
113 김상욱 교수, 상용화 가능한 그래핀 신소재 학술지 특집호 발간 file
112 강지형 교수 연구팀, 고성능 스트레처블 고분자 반도체를 위한 신개념 계면공학법 개발 file
111 배병수 교수, 물과 고온·고습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 수지 개발​
110 김상욱 교수, 카메라 플래시로 7나노미터 반도체 패턴 제작 기술 개발 file
109 강정구 교수, 공기중 산소로 충전되는 차세대 배터리용 에너지 저장 소재 개발
108 신종화 교수, 뼈의 단단함을 모사해 광학적 특성을 매우 증대시킨 신물질 개발
107 육종민 교수, 그래핀 이용해 아쿠아리움처럼 액체 내 물질을 관찰하는 현미경 기술 개발​
106 정우철, 김상욱 교수, 수소 연료전지 성능 높일 수 있는 나노촉매기술 개발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