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

Intro - 전기전도성과 신축성이 우수하면서 기계적,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액체금속을 고해상도 프린트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향후, 헬스케어를 위한 생체 부착 센서, 웨어러블 소자 또는 맞춤형 유연 신축성 소자에 핵심기술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Principal Investigator Prof. Park, Steve 
Date 2022-05-26 

사진 1. KAIST 신소재공학과 스티브박 교수.png  사진 2.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png  사진 3. KAIST 신소재공학과 이건희 박사과정.jpg  사진 4. KAIST 신소재공학과 이예림 박사과정.png

< (왼쪽부터) 신소재공학과 스티브 박 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 신소재공학과 이건희 박사과정, 신소재공학과 이예림 박사과정 >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스티브 박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안정적인 형태의 액체금속을 고해상도로 프린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액체금속은 높은 전기전도성과 액체와 같은 변형성으로 인해 유연 및 신축성 전자소자에 다양하게 적용돼왔다하지만 액체 상태가 갖는 불안정성과 높은 표면장력으로 인해 직접적인 접촉을 요구하는 전극이나 고해상도를 요구하는 전자소자의 배선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액체금속을 6~10㎛ (마이크로미터크기의 입자 형태로 분쇄해 안정적인 형태로 만들어 전자소자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돼왔지만이 경우에는 표면에 일어난 산화로 인해 기존의 높은 전기전도성을 상실한다는 단점이 존재했다이러한 액체금속 입자를 전기소자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계적화학적 변성을 통해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막을 제거해 전기전도성을 다시 확보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프린팅 과정에서 노즐과 기판 사이에서 유도된 반월판(meniscus)에서 촉진된 증발로 현탁액(suspension)의 조성을 바꾸면서 화학적 변성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먼저 프린팅에 사용되는 현탁액을 물과 물보다 끓는점이 높은 약산(아세트산)을 이용해 증발함에 따라 점점 강한 산성을 보이게 만들었다추가로 연구팀은 기판에 약 60의 열을 가해잉크의 증발과 산의 활성 및 화학적 변성을 촉진했다이를 통해 프린팅된 액체금속 입자 배선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기적 활성 과정 없이 금속과 비슷한 수준의 높은 전기전도도(1.5x10^6 S/m)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그림 1. 반월판 프린팅을 이용한 액체금속 현탁액 프린팅 개략도 및 사진.png

< 그림 1. 반월판 프린팅을 이용한 액체금속 현탁액 프린팅 개략도 및 사진 >

그림 2. 프린팅을 통해 제작된 액체금속기반 맞춤형 유연 전자피부와 근육 활성도 센서.png

< 그림 2. 프린팅을 통해 제작된 액체금속기반 맞춤형 유연 전자피부와 근육 활성도 센서 >

 

연구팀은 액체금속 입자의 표면에 전해질을 붙여 기계적화학적 안정성을 향상해 프린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막힘(clogging) 현상을 방지하고액체금속 입자 간에 연결(bridging)을 통한 신축성을 부여했다프린팅된 액체금속 입자 기반 배선은 약 500%까지 늘려도 저항이 크게 변하지 않아 다양한 신축성 소자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프린팅을 통해 다양한 기판에 여러 형태로 빠르게 증착할 수 있어 여러 맞춤형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특히 프린팅된 액체금속 입자의 기계적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기존 액체금속으로는 불가능했던 전극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함을 보였다.

또 전해질이 부착된 액체금속은 생체 친화성이 우수해피부와 직접 닿을 수 있는 생체전극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연구팀은 액체금속을 상용화된 의료용 테이프 위에 증착해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최적화된 EMG 센서(근육 움직임으로 인한 미세한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제작했다나아가서 생분해성 기판 위에 액체금속 전극을 증착해 사용 이후에 의료용 폐기물이 나오지 않는 ECG 센서(심전도 센서)로의 응용 가능성도 제시했다.

그림 3. 액체금속을 이용한 의료폐기물 없는 심전도 센서.png

< 그림 3. 액체금속을 이용한 의료폐기물 없는 심전도 센서 >

 

신소재공학과 이건희(스티브 박정재웅 교수 공동 지도), 이예림 박사과정 학생이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 버전에 5월 12일 字 출판됐다. (논문명 Rapid meniscus-guided printing of stable semi-solid-state liquid metal microgranular-particle for soft electronics)

스티브 박 교수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액체금속 입자 기반 현탁액의 새로운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 의미 있는 결과ˮ라고 말했다정재웅 교수는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임플란터블 모니터링 전자소자를 포함한 다양한 유연 및 신축성 전자소자에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ˮ 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