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

Intro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오지훈 교수가 지구온난화의 주범 기체인 이산화탄소를 에틸렌이나 에탄올, 프로판올과 같이 산업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지닌 다탄소화합물로의 효율적 전환이 가능한 새로운 실마리를 찾아냈다.

이산화탄소 농도조절만을 통해 다탄소화합물 선택도를 크게 높인 이 기술이 실용화되면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에틸렌이나 살균, 소독용이나 바이오 연료로 사용되는 에탄올, 화장품과 치과용 로션이나 살균·살충제에 사용되는 프로판올 등을 생산하는 기존 석유화학산업의 지형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가 크다.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오지훈 교수 연구팀은 이산화탄소 전기화학 환원 반응 시, 값싼 중성 전해물(전해질)에서도 다탄소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

KAIST에 따르면 오 교수 연구팀은 중성 전해물을 사용해 구리(Cu) 촉매 층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한 결과, 기존 공정과 비교해 각각 이산화탄소 전환율은 5.9%에서 22.6%로, 다탄소화합물 선택도는 25.4%에서 약 62%까지 대폭 높아진 공정과 촉매 층 구조를 개발했다.

탄잉촨 박사 후 연구원과 이범려 석사과정이 제1 저자, 송학현 박사과정 학생이 제2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셀프레스(Cell press)에서 발간하는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줄(Joule)' 5월호에서 편집자에게 높은 평가를 받은 특집논문(Featured article)으로 게재됐다.(논문명 : Modulating Local CO2 Concentration as a General Strategy for Enhancing C—C coupling in CO2 Electroreduction) 
Principal Investigator Prof. Oh, Jihun 
Date 2020-06-05 

(왼쪽 뒤부터 시계방향으로) 송학현 박사과정, 오지훈 교수, 탄잉촨 박사후 연구원, 이범려 석사과정

< (왼쪽 뒤부터 시계방향으로) 송학현 박사과정, 오지훈 교수, 탄잉촨 박사후 연구원, 이범려 석사과정 >

 

우리 대학 연구진이 지구온난화의 주범 기체인 이산화탄소를 에틸렌이나 에탄올프로판올과 같이 산업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지닌 다탄소화합물로의 효율적 전환이 가능한 새로운 실마리를 찾아냈다.

이산화탄소 농도조절만을 통해 다탄소화합물 선택도를 크게 높인 이 기술이 실용화되면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에틸렌이나 살균소독용이나 바이오 연료로 사용되는 에탄올화장품과 치과용 로션이나 살균·살충제에 사용되는 프로판올 등을 생산하는 기존 석유화학산업의 지형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가 크다.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오지훈 교수 연구팀은 이산화탄소 전기화학 환원 반응 시값싼 중성 전해물(전해질)에서도 다탄소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

KAIST에 따르면 오 교수 연구팀은 중성 전해물을 사용해 구리(Cu) 촉매 층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한 결과기존 공정과 비교해 각각 이산화탄소 전환율은 5.9%에서 22.6%다탄소화합물 선택도는 25.4%에서 약 62%까지 대폭 높아진 공정과 촉매 층 구조를 개발했다.

탄잉촨 박사 후 연구원과 이범려 석사과정이 제저자송학현 박사과정 학생이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셀프레스(Cell press)에서 발간하는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Joule)' 5월호에서 편집자에게 높은 평가를 받은 특집논문(Featured article)으로 게재됐다.(논문명 Modulating Local CO2 Concentration as a General Strategy for Enhancing CC coupling in CO2 Electroreduction)

세계 각국은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적극적으로 줄이기 위해이를 고부가가치의 물질로 전환하는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환원 반응시키면수소일산화탄소메탄 등 다양한 물질이 동시에 생성되는데그중 2개 이상의 탄소로 구성된 다탄소화합물이 산업적으로 중요한 가치로 인해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 연구는 탄소화합물의 선택도를 높이기 위해주로 알칼리성 전해물에 의존해 새로운 촉매 개발에 집중해왔다다만 알칼리성 전해물은 부식성과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이를 적용한 기존 공정은 유지비용이 비싸고촉매 전극의 수명도 짧다는 단점이 있다.

오 교수 연구팀은 기존과 달리 역발상적 생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구리 촉매 층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오히려 감소시켰는데 성능이 떨어진다고 여겨왔던 중성 전해물에서도 기존에 보고된 연구 성과를 뛰어넘는 고성능을 보여줬다특히이번 연구에서는 중성 전해물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된 전극은 놀랍게도 10시간이 넘도록 일정하게 높은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와 생성량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이산화탄소의 물질이동 모사 모델의 결과를 활용해 구리 촉매 층의 구조와 이산화탄소 공급 농도유량을 제어한 결과촉매 층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는 데에도 성공했다그 결과내부의 농도가 최적일 때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 교수는 "연구팀이 발견한 촉매 층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 간의 관계는 그동안 촉매 특성에 치우쳐있던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동시에 산업적 활용에서 공정 유지비용 절감은 물론 촉매 전극 수명 연장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ˮ 고 설명했다.

저자인 탄잉촨 박사 후 연구원도 "촉매 특성을 바꾸지 않고단순히 이산화탄소 농도만 바꿔도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ˮ면서 "이번 연구에서 밝힌 이산화탄소의 새로운 전기화학적 전환 기술은 기존 석유화학산업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는 전환점이 될 것ˮ 이라고 말했다.

그림 1. 촉매 층의 구조, 이산화탄소 공급 농도, 이산화탄소 공급 유량에 따른 촉매 층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 및 촉매 층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와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 그림 1. 촉매 층의 구조, 이산화탄소 공급 농도, 이산화탄소 공급 유량에 따른 촉매 층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 및 촉매 층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와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

 

그림 2.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a) 25도, (b) 50도, (c) 75도의 온도에서 적층된 다양한 두께의 구리 촉매 층의 전자 주사 현미경 단면 이미지와 그에 해당하는 에너지분산형 분광분석 이미지. 하단 이미지의 붉은 점은 구리 촉매 층을 나타낸다. (스케일 바: 5 µm)

< 그림 2.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a) 25도, (b) 50도, (c) 75도의 온도에서 적층된 다양한 두께의 구리 촉매 층의 전자 주사 현미경 단면 이미지와 그에 해당하는 에너지분산형 분광분석 이미지. 하단 이미지의 붉은 점은 구리 촉매 층을 나타낸다. (스케일 바: 5 µm) >

 

그림 3. 다양한 촉매 층 구조에서 이산화탄소 공급 농도와 유량에 따른 (a)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와 (b) 이산화탄소 전환율을 나타낸 등고선 그래프. 별이 표시된 위치가 가장 높은 선택도와 전환율을 나타낸다. (c) 본 연구의 생성량에 따른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를 보고된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한 그래프, (d) 본 연구에서 최적화된 공정에서 전극의 안정성과 기존 공정에서의 안정성을 비교하는 그래프.

< 그림 3. 다양한 촉매 층 구조에서 이산화탄소 공급 농도와 유량에 따른 (a)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와 (b) 이산화탄소 전환율을 나타낸 등고선 그래프. 별이 표시된 위치가 가장 높은 선택도와 전환율을 나타낸다. (c) 본 연구의 생성량에 따른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를 보고된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한 그래프, (d) 본 연구에서 최적화된 공정에서 전극의 안정성과 기존 공정에서의 안정성을 비교하는 그래프. >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