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정구 교수 연구팀, 저농도 폐수에서 암모니아 생산 기술 개발
|
admin
|
Feb 08, 2023 |
91 |
|
김상욱 교수 연구팀, 인간 근육보다 17배 강한 헤라클래스 인공 근육 개발
|
admin
|
Dec 05, 2022 |
265 |
|
신종화 교수 연구팀, 빛을 완전히 조절할 수 있는 메타렌즈 개발
|
admin
|
Dec 02, 2022 |
271 |
|
박병국 교수 연구팀, 스핀 소자 기반 물리적 복제방지 보안 기술 개발
|
admin
|
Nov 30, 2022 |
186 |
|
강지형 교수 연구팀, 고성능 스트레처블 고분자 반도체를 위한 신개념 계면공학법 개발
|
admin
|
Nov 24, 2022 |
328 |
|
강지형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수준 신축성과 전도성 가진 액체금속 입자로 신축성 인쇄 전자회로 기판 구현
|
admin
|
Nov 14, 2022 |
296 |
|
이건재 교수 연구팀, 면 발광 마이크로 LED 패치 개발로 피부 미백에 획기적 효과
|
admin
|
Nov 10, 2022 |
187 |
|
홍승범 교수 연구팀, 리튬이차전지 실리콘 기반 음극의 수명과 관련된 전자전도도 퇴화를 나노스케일에서 영상화 성공
|
admin
|
Nov 09, 2022 |
196 |
|
박찬범 교수 연구팀, 태양빛과 전기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업사이클링 구축
|
admin
|
Oct 18, 2022 |
245 |
|
스티브박 교수 연구팀, 헬스케어용 액체금속 전자문신 기술 개발
|
admin
|
Aug 24, 2022 |
353 |
130 |
김상욱 교수, 스스로 납작해지는 똑똑한 2차원 그래핀 섬유 개발
Aug 14, 2020 admin
|
admin |
Aug 14, 2020 |
475 |
129 |
정연식 교수, 2차원 반도체 공중 부양시켜 고성능 소자 제작
Apr 24, 2018 ADMINI
|
ADMINI |
Apr 24, 2018 |
480 |
128 |
김상욱 교수, 멤브레인 필요 없는 새로운 물 기반 전지 개발
Jan 09, 2020 admin
|
admin |
Jan 09, 2020 |
489 |
127 |
김상욱, 스티브 박 교수, 압력과 인장을 구분하는 무선통신 전자 소자 개발
Sep 22, 2020 admin
|
admin |
Sep 22, 2020 |
506 |
126 |
2018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 - 신소재공학과 박병국 교수
Feb 01, 2019 ADMINI
|
ADMINI |
Feb 01, 2019 |
528 |
125 |
홍승범 교수 연구팀, 리튬이온전지 충방전 과정을 나노스케일에서 영상화 성공
Apr 29, 2022 admin
|
admin |
Apr 29, 2022 |
538 |
124 |
이건재 교수, 인간 귀 모사한 음성 센서 세계 최초 상용화 길 터
Feb 17, 2021 admin
|
admin |
Feb 17, 2021 |
539 |
123 |
홍승범 교수 연구팀, 신소재 데이터 고속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훈련 방법론 개발
Aug 26, 2021 admin
|
admin |
Aug 26, 2021 |
539 |
122 |
강정구 교수, 공기중 산소로 충전되는 차세대 배터리용 에너지 저장 소재 개발
Jun 01, 2020 admin
|
admin |
Jun 01, 2020 |
542 |
121 |
김도경 교수 연구팀, 신소재 레이저 제작기술 개발
Jan 13, 2021 admin
|
admin |
Jan 13, 2021 |
546 |
120 |
신종화 교수, 뼈의 단단함을 모사해 광학적 특성을 매우 증대시킨 신물질 개발
Jun 09, 2020 admin
|
admin |
Jun 09, 2020 |
548 |
119 |
정연식, 전덕영, 장민석 교수, 팝콘 구조의 퀀텀닷 나노복합 소재 개발
Sep 30, 2019 ADMINI
|
ADMINI |
Sep 30, 2019 |
563 |
118 |
김경민 교수 연구팀, 모트 전이 반도체로 진성 난수 생성기 개발
Aug 22, 2021 admin
|
admin |
Aug 22, 2021 |
569 |
117 |
육종민 교수, 그래핀 이용해 아쿠아리움처럼 액체 내 물질을 관찰하는 현미경 기술 개발
Jan 19, 2021 admin
|
admin |
Jan 19, 2021 |
571 |
116 |
정우철, 김상욱 교수, 수소 연료전지 성능 높일 수 있는 나노촉매기술 개발
Mar 04, 2019 ADMINI
|
ADMINI |
Mar 04, 2019 |
576 |
115 |
배병수 교수, 물과 고온·고습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 수지 개발
Dec 28, 2020 admin
|
admin |
Dec 28, 2020 |
601 |
114 |
김상욱 교수, 카메라 플래시로 7나노미터 반도체 패턴 제작 기술 개발
Sep 14, 2017 ADMINI
|
ADMINI |
Sep 14, 2017 |
610 |
113 |
홍승범 교수 연구팀, 신소재 영상화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미래 개척
Apr 01, 2021 admin
|
admin |
Apr 01, 2021 |
637 |
112 |
김상욱 교수, 상용화 가능한 그래핀 신소재 학술지 특집호 발간
Oct 18, 2017 ADMINI
|
ADMINI |
Oct 18, 2017 |
642 |
111 |
홍승범 교수 연구팀, 고체 전해질 내부 나노 단위 영상화 성공
Apr 13, 2021 admin
|
admin |
Apr 13, 2021 |
6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