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

강정구 교수 연구팀, 저농도 폐수에서 암모니아 생산 기술 개발 file
김상욱 교수 연구팀, 인간 근육보다 17배 강한 헤라클래스 인공 근육 개발 file
신종화 교수 연구팀, 빛을 완전히 조절할 수 있는 메타렌즈 개발​ file
박병국 교수 연구팀, 스핀 소자 기반 물리적 복제방지 보안 기술 개발 file
강지형 교수 연구팀, 고성능 스트레처블 고분자 반도체를 위한 신개념 계면공학법 개발 file
강지형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수준 신축성과 전도성 가진 액체금속 입자로 신축성 인쇄 전자회로 기판 구현 file
이건재 교수 연구팀, 면 발광 마이크로 LED 패치 개발로 피부 미백에 획기적 효과 file
홍승범 교수 연구팀, 리튬이차전지 실리콘 기반 음극의 수명과 관련된 전자전도도 퇴화를 나노스케일에서 영상화 성공​ file
박찬범 교수 연구팀, 태양빛과 전기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업사이클링 구축​ file
스티브박 교수 연구팀, 헬스케어용 액체금속 전자문신 기술 개발 file
130 김상욱 교수, 스스로 납작해지는 똑똑한 2차원 그래핀 섬유 개발
129 정연식 교수, 2차원 반도체 공중 부양시켜 고성능 소자 제작
128 김상욱 교수, 멤브레인 필요 없는 새로운 물 기반 전지 개발 file
127 김상욱, 스티브 박 교수, 압력과 인장을 구분하는 무선통신 전자 소자 개발
126 2018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 - 신소재공학과 박병국 교수 file
125 홍승범 교수 연구팀, 리튬이온전지 충방전 과정을 나노스케일에서 영상화 성공​ file
124 이건재 교수, 인간 귀 모사한 음성 센서 세계 최초 상용화 길 터​
123 홍승범 교수 연구팀, 신소재 데이터 고속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훈련 방법론 개발
122 강정구 교수, 공기중 산소로 충전되는 차세대 배터리용 에너지 저장 소재 개발
121 김도경 교수 연구팀, 신소재 레이저 제작기술 개발​
120 신종화 교수, 뼈의 단단함을 모사해 광학적 특성을 매우 증대시킨 신물질 개발
119 정연식, 전덕영, 장민석 교수, 팝콘 구조의 퀀텀닷 나노복합 소재 개발 file
118 김경민 교수 연구팀, 모트 전이 반도체로 진성 난수 생성기 개발​
117 육종민 교수, 그래핀 이용해 아쿠아리움처럼 액체 내 물질을 관찰하는 현미경 기술 개발​
116 정우철, 김상욱 교수, 수소 연료전지 성능 높일 수 있는 나노촉매기술 개발 file
115 배병수 교수, 물과 고온·고습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 수지 개발​
114 김상욱 교수, 카메라 플래시로 7나노미터 반도체 패턴 제작 기술 개발 file
113 홍승범 교수 연구팀, 신소재 영상화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미래 개척
112 김상욱 교수, 상용화 가능한 그래핀 신소재 학술지 특집호 발간 file
111 홍승범 교수 연구팀, 고체 전해질 내부 나노 단위 영상화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