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

'생체전자소자 권위자’John A. Rogers 교수 초빙 file
KAIST, 軍 전투원 신소재 입고 개인 맞춤형 훈련시대 연다 file
조힘찬 교수팀,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보안높인다. file
KAIST, 세계 최초 ‘좌우회전 빛 구별 반도체’ 소재로 양자광학 혁신 file
KAIST, 세계 최초 카이럴자성 양자점 개발- 빛 구동 AI용 소자 구현 file
KAIST, 뇌처럼 생각·반응하는 반도체 나왔다 file
조힘찬 교수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수상자로 선정 file
염지현 교수 연구팀, ‘카이랄 나노 페인트’ 기술로 항암, 코로나 치료 혁신 file
KAIST, AI 기반 화재 걱정없는 고효율 아연-공기 배터리 개발 file
246 정연식 교수 연구팀, 극한의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 열전 소재 최초 개발 file
245 신종화 교수 연구팀, 빛의 방향에 따라 두 얼굴 야누스같은 메타표면 개발 file
244 정연식 교수 연구팀, 7배 이상 높은 발광 3차원 퀀텀닷 나노구조체 개발 file
243 배병수 교수 연구팀, 25% 늘려도 그대로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개발 file
242 스티브 박 교수 연구팀, 피부 모니터링부터 뇌심부 해석까지 쉽게 가능 file
241 홍승범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으로 배터리 원소, 충방전 상태 인식​ file
240 세계적 나노 석학들과 'ACS 나노 서밋 2024' 개최 file
239 김경민 교수 연구팀, 애물단지 열을 컴퓨팅에 활용한다 file
238 김상욱 교수, 세계 최대 두 학회 의장으로 동시 선정 file
237 김일두 교수 연구팀, 실내조명 활용하여 최고 수준 이산화질소 감지 가능 file
236 서동화 교수 연구팀, 값싸고 40% 향상된 리튬이온전지 만든다​ file
235 강정구 교수 연구팀, 수 초 만에도 급속충전 가능 소듐전지 개발 file
234 강기범 교수팀, 차세대 이차원 반도체 핵심 기술 개발​ file
233 홍승범 교수팀, 화학물질 없이 식각하는 반도체 기술 최초 개발 file
232 김상욱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을 위한 신소재 혁신방향 제시 file
231 김경민 교수 연구팀, 반도체가 곤충처럼 사물 움직임 감지한다 file
230 육종민 교수 연구팀, 알츠하이머 발병 과정을 관찰하다 file
229 홍승범 교수 연구팀, 금이 간 뼈에 ‘뼈반창고’ 신소재 개발 file
228 헤라클레스 인공근육, 2023년 10대 기술 선정 file
227 이건재 교수 연구팀, 원하는 색깔의 마이크로 LED 전사기술 개발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