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

'생체전자소자 권위자’John A. Rogers 교수 초빙 file
KAIST, 軍 전투원 신소재 입고 개인 맞춤형 훈련시대 연다 file
조힘찬 교수팀,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보안높인다. file
KAIST, 세계 최초 ‘좌우회전 빛 구별 반도체’ 소재로 양자광학 혁신 file
KAIST, 세계 최초 카이럴자성 양자점 개발- 빛 구동 AI용 소자 구현 file
KAIST, 뇌처럼 생각·반응하는 반도체 나왔다 file
조힘찬 교수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수상자로 선정 file
염지현 교수 연구팀, ‘카이랄 나노 페인트’ 기술로 항암, 코로나 치료 혁신 file
KAIST, AI 기반 화재 걱정없는 고효율 아연-공기 배터리 개발 file
86 김상욱 교수, 멤브레인 필요 없는 새로운 물 기반 전지 개발 file
85 김경민 교수 연구팀, 애물단지 열을 컴퓨팅에 활용한다 file
84 강정구 교수 연구팀, 저농도 폐수에서 암모니아 생산 기술 개발 file
83 정연식 교수·KIST 김진영 박사·김동훈 박사 공동 연구팀, 반도체 기술로 75배 향상된 초고효율 수소 생산 성공​ file
82 스티브박 교수 연구팀, 안정적인 형태의 액체금속 프린팅 기술 개발 file
81 홍승범 교수 연구팀, 미래 반도체 소재 나노 분석 정확도 획기적 향상 file
80 박병국 교수 연구팀, 스핀 소자 기반 물리적 복제방지 보안 기술 개발 file
79 김상욱 교수, 홍합접착제 이용해 성능 높인 그래핀 섬유 개발
78 정우철 교수, 소량 금속으로 연료전지 수명 극대화 기술 개발 file
77 안병태 교수 등 3인, 세계 최소 크기 '포켓형 산소마스크' 개발
76 홍승범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으로 배터리 원소, 충방전 상태 인식​ file
75 ‘Carrier-Resolved Photo-Hall’ to Push Semiconductor Advances file
74 스티브박 교수 연구팀, 신축성 있는 전자장치 및 전자피부에 적용 가능하게 설계된 기하학적 아일랜드 기판 개발​ file
73 김일두 교수 연구팀, 물로 전기 만드는 발전기 개발 file
72 스티브 박 교수 연구팀, 입자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제어해 박막 특성 조절 성공
71 김상욱 교수, 세계 최대 두 학회 의장으로 동시 선정 file
70 정연식 교수, 2차원 반도체 공중 부양시켜 고성능 소자 제작
69 김상욱 교수 연구팀, 나노 크기 인공 지문으로 복제불가 사물인터넷 보안, 인증 원천기술 개발​ file
68 김경민 교수 연구팀, 뉴로모픽 반도체로 통증도 느낀다 file
67 김일두, 정우철 교수 연구팀, 저온 엑솔루션 현상을 통한 나노촉매-금속산화물 기반 황화수소 가스 센서 개발​